Classical Music

클래식 음악 음반 추천 150

포포포동포도 2023. 2. 7. 15:00

안녕하세요. 커홍클 입니다. 
[TMI: 커홍클이란? ㅋㅋ커피, 홍차, 클래식 음악이란 뜻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것들입니다.]

우선 저처럼 클래식 음악을 좋아하면서 커피와 홍차도 좋아하신다면 온라인 상이지만 넘넘 반갑습니다^^ 여러 클래식 음악 커뮤니티가 있습니다만 저는 항상 목말랐습니다. 추천되는 음반들이 대부분 역사적?? 명반??이라는 이름으로 빗소리반 음악소리반의 음반이 추천되곤 하는데, 저희처럼 음악, 사운드일 하는 사람들에겐 듣기 힘든 충격적인 수준의  음질의 음반들도 자주 추천되기 때문이었습니다. ㅜㅜ 당연히 음악은 철저히 개인취향의 영역입니다. 그래서 그분들의 취향은 존중합니다만, 저는 듣기 나쁜 소리를 듣고 고치는 걸 훈련받아왔기 때문인지 좋지 못한 음질은 듣기 힘이 듭니다. 그래서 저처럼 음악 연주도 음질도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신다면 작은 도움이라도 되고 즐거운 교류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음악 선정 가이드
기본적으로 후기낭만파와 근현대 음악을 좋아합니다. 바이올린 곡들을 매우 좋아하며 오케스트라의 연주에 기반한 곡들을 선호합니다. 피아노는 사실은 타악기라던 프로코피예프의 의견에 동의해서인지 피아노 음악들은 근현대 음악들을 더 좋아하며, 바이올린의 경우 현대음악 보단 근현대 정도까지 주로 선호합니다. 실내악도 좋아하며 성악곡은 싫어하지는 않으나 오페라류 특히 이태리 작곡가들의 오페라류는 잘 못 듣습니다. 브람스처럼 아마 영원히 오페라엔 조금도 관심이 없을 것 같습니다. 통상적으로 압도적인 비율로 선호되는 바흐나 모차르트 베토벤 슈베르트 등 작품들은 다른 감상자들에 비해 다소 적을 수 있겠습니다. 국룰의 이 나라 조선 ㅋㅋ 하지만 저는 곡 선곡이나 음원의 선정마저 국룰?? 이딴 걸 따를 생각은 없습니다. 아주 싫어합니다. 즐겁기 위한 나의 이 취미 생활에서는 타인들의 선호도와 같게 할 수도 없고 맞출 생각도 없습니다.

 

 

 

+ 음반 선정 가이드
1960~1970년대에 이미 마이크나 프리엠프의 기술들은 농익을 대로 농익었지만 아날로그 방식의 녹음은 다이나믹레인지와 신호대잡음비에는 약점을 보이기도 합니다. 음냠... 말을 복잡하게 했네요. 잡음이 많은 아날로그 방식의 음원들은 선정에서 제외하였습니다. 빗소리가 음악소리만큼 크게 들리는 음악은  못 듣습니다. ㅜㅜ 저는 집중력이 좋지 못하네요. 그분들은 음질을 듣는 게 아니라 음악을 듣는다고 하시던데 저는 음질 역시 음악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니라면 좋은 울림의 홀 실내악 콘서트홀 등등 구별할 이유가 하나도 없겠죠. 

 

그렇지 않아도 음질을 중요시하지만 더욱더 음질이 중요한 곡들은 더 녹음이 잘된 음반들을 선정했습니다. 디지털 녹음의 장점인 넓은 다이나믹래인지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말러의 교향곡들이나 극단적인 다이나믹 시그네이처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작곡가인 차이코프스키의 교향곡들 또한 반사음이 적어서 악기 차체의 질감이 앙상하게 드러나는 실내악 역시 음질을 중요한 선정이유로 골랐습니다.

 

소리에 있어서도 유행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각 시대마다 미묘하게 음색이 변합니다. 이는 사운드 엔지니어의 특성일 수도 있고 당시 사용하던 장비들 특히 마이크나 프리엠프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클래식 음악 녹음에는 팝 음악보다는 녹음에 사용된 마이크나 마이크 프리엠프들이 착색이 덜한 제품들이 선호되지만 그럼에도 소리와 그 장비들은 사용된 부품의 특성이 소리에  반영되어 그 시대의 사운드를 냅니다.  아날로그 녹음장치를 쓰던 시절 음원들 특유의 저음이 빈약한 사운드는 저음이 점점 더 강조되는 디지털 시대에서는 듣기 힘든 것도 사실입니다.

 

이렇게 좋은 음질의 음반을 선호하지만 초기 디지털 방식의 음원 A/D 컨버터의 성능이 아직 모자라던 시절의 일부 듣기 힘든 소리가 녹음된 음원들은 제외하였습니다. 반면 다이나믹 레인지가 적어도 상관없는 곡들은 오래된 아날로그 녹음도 선정하는데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50년대 후반 음원 중에도 잘 녹음된 음원들은 음질이 나쁘지 않습니다.

음악 해석에 있어서 템포가 느린것은 딱 질색입니다. 느림의 미학 저에게는 지옥입니다. 저는 전형적인 빨리빨리의 민족인가 봅니다. 최근의 팝이나 필름 스코어링의 추세를 보아도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템포가 조금씩 빨라지는 것이 대세이기도 합니다. 

 

 

+ 클래식 추천 150곡 그리고 추천 음반(음원)
그래서 좋아하는 나만의 150곡 선정과 그 음악의 추천 음반들입니다. 추천 100곡은 너무 적고 200곡은 좀 과한 것 같아 중간인 150곡을 선정해 보았습니다. 아래의 선곡과 음반 선정은 단지 오늘의 기준입니다. 내일 아니 몇 분 후 또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참고만 해주세요^^ 자세한 선곡과 음반 선택은 하나씩 더 해볼 생각입니다. 이 선택은 그냥 대충의 저와 함께 하실 분들과의 인사를 위한 자소서 정도입니다 :)

음악 음반 스따또~

 

1. 비발디 1678년 3월 4일 (이태리)사계
Violin:강동석(Dong-Suk Kang)/Conductor:Sir Neville Marriner /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 E&E Media 2000
Violin,Conductor: Fabio Biondi /Europa Galante - Erato 2001
Violin,Conductor: Nils-Erik Sparf /Drottningholm Baroque Ensemble - BIS 1985 
Violin,Conductor: Fabio Biondi /Europa Galante - Naive 1991

2. 비발디 1678년 3월 4일 (이태리) 바순협주곡 E minor
Basson: Frantisek Herman /Conductor: Jaroslav Krcek /Capella Istropolitana - Naxos 1989

3. 바흐 1685년 3월 31일(독일) 바이올린 파르티타 No.1&2&3 
Violin: 김수연 (Suyoen Kim) - DG 2011
Violin: 정경화(Kyung-wha Chung) - Warner Classics 2016

4. 바흐 1685년 3월 31일(독일) 토카타와 푸가
Organ: Jean Guillou - Sono Luminus 1989

 

5. 바흐 1685년 3월 31일(독일) 무반주 첼로 모음곡

Cello: 양성원(Sung-Won Yang) - Decca 2017

6. 모차르트 1756년 1월 27일(오스트리아) 바이올린 협주곡 3번
Violin, Conductor: Henning Kraggerud /Norwegian Chamber Orchestra - Naxos 2016
Violin: Vadim Repin /Conductor:Yehudi Menuhin /Vienna Chamber Orchestra - Erato 1998

 

7. 모차르트 1756년 1월 27일(오스트리아) 바이올린 협주곡 5번
Violin, Conductor: Henning Kraggerud /Norwegian Chamber Orchestra - Naxos 2016

 

8. 모차르트 1756년 1월 27일(오스트리아) 플룻과 하프를 위한 협주곡
Flute: Patrick Gallois/Harp: Roderick Shaw /Conductor: Katarina Anderasson /Swedish Chamber Orchestra - Naxos 2003
Flute: Emmanuel Pahud /Harp: Marie-Peerre Langlamet /Conductor: Claudio Abbado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7

 

9. 모차르트 1756년 1월 27일(오스트리아) 피아노 협주곡 20번
Piano: 조성진(Seong-Jin Cho) /Conductor: Yannick Nézet-Séguin /Chamber Orchestra of Europe - DG 2018

 

10. 모차르트 1756년 1월 27일(오스트리아) 피아노 협주곡 21번
Piano: Alfred Brendel /Conductor: Sir. Charles Mackerras /Scottish Chamber Orchestra - Decca 1999

 

------------------------------------------------------------------------------------------------------------------

 

11. 모차르트 1756년 1월 27일(오스트리아) 피아노 협주곡 23번
Piano: Alfred Brendel /Conductor: Sir. Charles Mackerras /Scottish Chamber Orchestra - Decca 1999

 

12. 모차르트 1756년 1월 27일(오스트리아) 피아노 협주곡 24번
Piano: Alfred Brendel /Conductor: Sir. Charles Mackerras /Scottish Chamber Orchestra - Decca 1999

 

13. 모차르트 1756년 1월 27일(오스트리아) 피아노 협주곡 27번
Piano: Alfred Brendel /Conductor: Sir. Charles Mackerras /Scottish Chamber Orchestra - Decca 1999

 

14.모차르트 1756년 1월 27일(오스트리아) 교향곡 25번

Conductor: Claudio Abbado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Sony Classical 1994

Conductor: Josef Krips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 Decca 1974

 

15. 모차르트 1756년 1월 27일(오스트리아) 레퀴엠
Conductor: Philippe Herreweghe /La Chapelle Royale, Collegium Vocale Gent, Orschestre des Champs Elysees - Harmonia Mundi 1996
by Franz Xaver Süssmayr /Conductor: William Christie /Les Arts Florissants - Erato 1995
Conductor: Mariss Jansons /Netherlands Radio Choir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 RCO 2014

16. 베토벤 1770년 12월(독일) 바이올린 협주곡
Violin: Isabelle Faust / Conductor: Claudio Abbado /Orchestra Mozart - Harmonia Mundi 2007
Violin: Dmitry Sitkovetsky /Conductor: Sir Neville Marriner /Academy of St. Martin in the Fields - Erato 1993
Violin: Christian Tetzlaff / Conductor: Robin Ticciati /Berlin Radio Symphony Orchestra - Ondine 2019

 

17. 베토벤 1770년 12월(독일) 피아노 협주곡 5번 '황제'
Piano: Yunchan Lim(임윤찬) /Conductor: Seokwon Hong(홍석원) /Gwangju Symphony Orchestra - DG 2022
Piano: Krystian Zimerman /Conductor: Leonard Bernstein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92

18. 베토벤 1770년 12월(독일) 3중 협주곡
Violin: 정경화(Kyung-wha Chung) /Cello: 정명화(Myung-wha Chung) /Piano,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Philhamonia Orchetra - DG 1998
Violin:강동석(Dong-Suk Kang) /Cello: Maria Kliegel /Piano: Jeno Jando /Conductor: Bela Drahos /Nicolaus Esterhazy Sinfonia Orchestra - Naxos 1998

 

19. 베토벤 1770년 12월(독일) 교향곡 9번'합창'
Conductor: Hervert von Karajan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84
Conductor: Gunter Wand /NDR Symphony Orchestra - RCA 1989

 

20. 베토벤 1770년 12월 17일(독일) 현악사중주 13번
Quatuor Ebene - Erato 2019

 

------------------------------------------------------------------------------------------------------------------


21. 베토벤 1770년 12월 17일(독일) 현악사중주 14번
Quatuor Ebene - Erato 2019

 

22. 베토벤 1770년 12월 17일(독일) 현악사중주 15번
Quatuor Ebene - Erato 2019


23. 베토벤 1770년 12월 17일(독일) 현악사중주 16번
Quatuor Ebene - Erato 2019

 

24. 파가니니 1782년 10월 27일(이태리) 24개의 카프리스
Violin: 양인모 (In-Mo Yang) - DG 2018
Violin: 박수예 (Sueye Park) - BIS 2017

 

25. 파가니니 1782년 10월 27일(이태리) 바이올린 협주곡 1번
Violin: Salvatore Accardo /Conductor: Charles Dutoit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75

 

26. 파가니니 1782년 10월 27일(이태리) 바이올린 협주곡 2번
Violin: Salvatore Accardo /Conductor: Charles Dutoit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75

 

27. 슈베르트 1797년 1월 31일(오스트리아) 미사 G장조
Conductor: Claudio Abbado /Chamber Orchestra Of Europe - DG 1992

 

28. 슈베르트 1797년 1월 31일(오스트리아) 현악사중주 14번 "죽음과 소녀"
Novus Quartet - Aparte 2019

29. 슈베르트 1797년 1월 31일(오스트리아) 피아노 3중주
Cello: Sung-Won Yang(양성원) /Piano: Emmanuel Strosser /Violin: Olivier Charlier - Decca 2009

 

30. 쇼팽 1810년 3월 1일(폴란드,프랑스)  스케르조 No.2
Piano: 조성진(Seong-Jin Cho) - DG 2021

 

------------------------------------------------------------------------------------------------------------------

 

32. 바그너 1813년 5월 22일(독일) 발퀴레
Conductor: Georg Solti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Decca 1983
Conductor: Riccardo Chailly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 Decca 1995

 

32. 베르디 1813년 10월 10일(이태리) 레퀴엠
Conductor: Claudio Abbado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Warner Classics 2001

 

33. 브람스 1833년 5월 7일(독일) 교향곡 1번

Conductor: Hervert von Karajan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87
Conductor: Gunter Wand /NDR Symphony Orchestra - RCA 1982
Conductor: Andris Nelsons  /Boston Symphony Orchestra - BSO Classics 2016

 

34. 브람스 1833년 5월 7일(독일) 교향곡 4번
Conductor: Mariss Jansons /Oslo Philharmonic Orchestra - SIMAX 2000

35. 브람스 1833년 5월 7일(독일) 바이올린 협주곡
Violin: 정경화(Kyung-wha Chung) /Conductor: Simon Rattle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Warner Classics 2001
Violin: Vadim Repin /Conductor: Ricardo Chailly /Leipzig Gewandhaus Orchestra - DG 2008

36. 비에니아프스키 1835년 7월 10일(폴란드) 바이올린 협주곡 1번
Violin: Gil Shaham /Conductor: Lawrence Foster /London Symphony Orchestra - DG 1991

37. 비에니아프스키 1835년 7월 10일(폴란드) 바이올린 협주곡 2번
Violin: Gil Shaham /Conductor: Lawrence Foster /London Symphony Orchestra - DG 1991
Violin:김봄소리(Bomsori Kim) /Conductor: Jacek Kaspszyk /Warsaw Philharmonic The National Orchestra - Warner Classics 2017

38. 생상스 1835년 10월 9일(프랑스) 서주 론도와 카프리치오소
Violin: 정경화 (Kyung-Wha Chung) /Conductor: Charles Dutoit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 Decca 1979
Violin: Maxim Vengerov /Conductor: Zubin Mehta /Israel Philharmonic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2

 

39. 생상스 1835년 10월 9일(프랑스) 바이올린 협주곡 3번
Violin: 정경화 (Kyung-Wha Chung) /Conductor: Lawrence Foster /London Symphony Orchestra - Decca 1976
Violin: 강동석 (Dong-Suk Kang) /Conductor: Antoni Wit /Polish National Radio Symphony Orchestra - Naxos 1994

 

40. 생상스 1835년 10월 9일(프랑스) 교향곡 3번 '오르간'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Bastille Opera Orchestra - DG 1993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 DG 2016
Conductor: Edo de Waart /San Francisco Symphony Orchestra - Decca 1985

 

------------------------------------------------------------------------------------------------------------------

41. 브루흐 1838년 1월 6일(독일) 바이올린 협주곡 1번
Violin: 정경화(Kyung-wha Chung) /Conductor: Rudolf Kempe /Royal Philharmonic Orchestra - Decca 1972
Violin: 정경화(Kyung-wha Chung) /Conductor: Klaus Tennstedt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1


42. 비제 1838년 10월 25일(프랑스) 카르맨 모음곡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Bastille Opera Orchestra - DG 1991

43. 무소륵스키(무소르그스키) 1839년 3월 21일(러시아) 전람회의 그림
Conductor: Mariss Jansons /Bavarian Radio Symphony Orchestra - BR KLASSIK

44. 차이코프스키 1840년 5월 7일(러시아) 피아노 협주곡 1번
Piano: Denis Matsuev /Conductor: Valery Gergiev /Kirov Orchestra - Mariinsky 2014
Piano: Martha Argerich /Conductor: Kirill Kondrashin /Bavarian Radio Symphony Orchestra - Decca 1980
Piano: Emil Gilels /Conductor: Lorin Maazel /New Philharmonia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73

45. 차이코프스키 1840년 5월 7일(러시아) 피아노 협주곡 2번
Piano: Konstantin Scherbakov /Conductor: Dmitry Yablonsky /Russian Philharmonic Orchestra - Naxos 2007
Piano: Denis Matsuev /Conductor: Valery Gergiev /Kirov Orchestra - Mariinsky 2014

46. 차이코프스키 1840년 5월 7일(러시아) 바이올린 협주곡
Violin: Vadim Repin /Conductor: Emmanuel Krivine /London Symphony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6

Violin: David Garrett /Conductor: Mikhail Pletnev /Russian National Orchestra - DG 2001

Violin: Vadim Gluzman /Conductor: Andrew Litton /Bergen Philharmonic Orchestra -BIS 2008
Violin: Frank Zimmermann /Conductor: Manfred Honeck /Oslo Philharmonic Orchestra -Sony Classical 2004

47. 차이코프스키 1840년 5월 7일(러시아) 백조의 호수
Conductor : Herbert von Karajan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72

48. 차이코프스키 1840년 5월 7일(러시아) 1812년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DG 1990

49. 차이코프스키 1840년 5월 7일(러시아) 교향곡 4번
Conductor: Evgeny Svetlanov /USSR State Symphony Orchestra - Pony Canyon 1990
Conductor: Evgeny Svetlanov /USSR State Symphony Orchestra - Melodiya 1967

 

50. 차이코프스키 1840년 5월 7일(러시아) 교향곡 5번
Conductor: Evgeny Svetlanov /USSR State Symphony Orchestra - Pony Canyon 1990
Conductor: Mariss Jansons /Oslo Philharmonic Orchestra - Chandos 1984
Conductor: Kirill Petrenko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Berlin Philharmonic Recordings 2020

 

------------------------------------------------------------------------------------------------------------------


51. 차이코프스키 1840년 5월 7일(러시아) 교향곡 6번 '서정적(비창)'
Conductor : Herbert von Karajan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84
Conductor: Kirill Petrenko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Berlin Philharmonic Recordings 2019

 

52. 드보르작 1841년 9월 8일(체코) 교향곡 7번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97

53. 드보르작 1841년 9월 8일(체코)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Conductor: Claudio Abbado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98

54. 그리그 1843년 6월 15일(노르웨이) 피아노 협주곡
Piano: Radu Lupu /Condutor: Andre Previn /London Symphony Orchestra - Decca 1973

55. 그리그 1843년 6월 15일(노르웨이) 페르퀸트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DG 1987
Conductor: Hervert von Karajan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83

56. 사라사테 1844년 3월 10일(스페인) 카르맨 판타지
Violin: 장영주(Sarah Chang) /Conductor: Placido Domingo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Warner Classics 2001

57. 엘가 1857년 6월 2일(영국) 위풍당당 행진곡
Conductor: Andrew Davis /BBC Philharmonic Orchestra - Chandos 2012

58. 이자이 1858년 7월 16일(벨기에)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
Violin: Maxim Vengerov - Warner Classics 2002

59.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
Mezzo-Soprano: Anne Sofie von Otter /Conductor: John Eliot Gardiner /NDR Symphony Orchestra - DG 1996

 

60.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뤼케르트 가곡
Mezzo-Soprano: Anne Sofie von Otter /Conductor: John Eliot Gardiner /NDR Symphony orchestra - DG 1996

 

------------------------------------------------------------------------------------------------------------------


61.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어린이의 이상한 뿔피리
Mezzo-Soprano: Anne Sofie von Otter /Bass-Baritone: Thomas Quasthoff /Conductor: Claudio Abbado /Berlin Philhamonic Orchestra - DG 1996

 

62.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대지의 노래

Conductor:Esa-Pekka Salonen/Tenor:Placido Domingo/Baritone:Bo Skovhus /Los Angeles Philharmonic Orchestra - Sony Classical 1999

Conductor:Jonathan Nott/Tenor:Jonas Kaufmann/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Sony Classical 2017
Conductor:Carlo Maria Giulini/Tenor:Francisco Araiza/Alto:Brigitte Fassbaender/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84


63.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교향곡 1번
Conductor: Kirill Kondrashin /NDR symphony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81

64.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교향곡 2번 '부활'

Conductor: Claudio Abbado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94

Conductor: Jonathan Nott /Bamberg Symphony Orchestra - Tudor 2010

Conductor: Claudio Abbado /Lucerne Festival Orchestra -DG 2004


65.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교향곡 3번
Conductor: Kent Nagano /German Symphony Orchestra,Berlin  - Warner Classics 2000
Conductor: Riccardo Chailly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 DECCA 1998


66.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교향곡 4번

Conductor: Michael Tilson Thomas /San Francisco Symphony Orchestra - SFS MEDIA 2003

Conductor: Claudio Abbado /Lucerne Festival Orchestra -DG 2004


67.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교향곡 5번
Conductor: Riccardo Chailly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 DECCA 1998
Conductor: Markus Stenz /Guerzenich Cologne Orchestra - Oehms Classics 2009

68.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교향곡 6번 '비극적'
Conductor: Kirill Kondrashin /Baden-Baden and Freiburg Southwest German Radio Symphony Orchestra - SWR Classics 1981
Conductor: Neeme Jarvi /Royal Scottish National Orchestra - Chandos 1992

Conductor: Yoel Levi /Atlanta Symphony Orchestra - Telarc 1998

69.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교향곡 7번 '밤의 노래'

Conductor: Kirill Kondrashin / Amsterdam Concertgebouw Orchestra - TAHRA 1979
Conductor: Claudio Abbado /Chicago Symphony Orchestra - DG 1995


70.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교향곡 8번 '천인'
Conductor: Claudio Abbado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95
Conductor: Jonathan Nott /Bamberg Symphony Orchestra - Tudor 2013

 

------------------------------------------------------------------------------------------------------------------

 

71.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교향곡 9번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Seoul Philharmonic Orchestra - DG 2014

 

72. 말러 1860년 7월 7일(오스트리아-체코계-유태계) 교향곡 10번
Conductor: Claudio Abbado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95

Conductor: Michael Gielen/Baden-Baden and Freiburg Southwest German Radio Symphony Orchestra - SWR Classics 1981

Conductor: Riccardo Chailly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 DECCA 1988

 

73. 드뷔시 1862년 8월 22일(프랑스) 목신의 오후 전주곡
Conductor: Daniel Barenboim /Paris Orchestra - DG 1978

74. 드뷔시 1862년 8월 22일(프랑스)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Piano: 조성진(Seong-Jin Cho) - DG 2017

75. 드뷔시 1862년 8월 22일(프랑스) 현악사중주
Quatuor Ebene - Erato 2008

76. 마스카니 1863년 12월 7일(이태리)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Conductor: Hervert von Karajan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68
Conductor: Semyon Bychkov /Paris Orchestra - Decca 1991

77. R.스트라우스 1864년 6월 11일(독일)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Conductor: Hervert von Karajan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83
Conductor: Hervert von Karajan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73

78. R.스트라우스 1864년 6월 11일(독일) 4개의 가곡 Op.27(1894) 중 "내일"
황수미(Sumi Hwang) Paino: Helmut Deutsch - DG 2019

79. 닐센 1865년 6월 9일(덴마크) 클라리넷 협주곡
Clarinet: Olle Schill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BIS 1986
Clarinet: Hakan Rosengren /Conductor:Esa-Pekka Salonen /Swedish Radio Symphony Orchestra - Sony Classical 1993

 

80. 닐센 1865년 6월 9일(덴마크) 바이올린 협주곡
Violin: 강동석(Dong-Suk Kang)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BIS 1987

 

------------------------------------------------------------------------------------------------------------------


81. 닐센 1865년 6월 9일(덴마크) 교향곡 3번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BIS 1986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DG 2005
Conductor: Esa-Pekka Salonen /Swedish Radio Symphony Orchestra - Sony Classical 1991

 

82. 닐센 1865년 6월 9일(덴마크) 교향곡 4번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DG 2005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BIS 1993

 

83. 닐센 1865년 6월 9일(덴마크) 교향곡 5번
Conductor: 정명훈(Myung Whun Chung)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BIS 1987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DG 2005

84. 뒤카스 1865년 10월 1일(프랑스) 마법사의 제자
Conductor: James Levine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87
Conductor: Kent Nagano /Montreal Symphony Orchestra - DECCA 2016

85. 시벨리우스 1865년 12월 8일(핀란드) 교향곡 1번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BIS 1984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DG 2016

86. 시벨리우스 1865년 12월 8일(핀란드) 교향곡 2번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BIS 1984

87. 시벨리우스 1865년 12월 8일(핀란드) 교향곡 6번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DG 2005

88. 시벨리우스 1865년 12월 8일(핀란드) 슬픈 왈츠
Conductor: Paavo Jarvi /Estonian National Symphony Orchestra - Erato 2001

89. 시벨리우스 1865년 12월 8일(핀란드) 바이올린 협주곡
Violin: 강동석(Dong-Suk Kang) /Conductor: Adrian Leaper /Slovak Radio Symphony Orchestra - Naxos 1989

 

90. 라흐마니노프 1873년 4월 1일(러시아) 피아노 협주곡 2번
Piano: 임동혁(Dong-Hyek Lim) /Conductor: Alexander Vedernikov /BBC Symphony Orchestra - Warner Classics 2019
Piano: Denis Matsuev /Conductor: Valery Gergiev /Kirov Orchestra - Mariinsky 2017

 

------------------------------------------------------------------------------------------------------------------


91. 라흐마니노프 1873년 4월 1일(러시아) 환상 소품집
Piano: Nareh Arghamanyan -  Penta Tone Classics 2012

 

92. 홀스트 1874년 9월 21일(영국) 행성
Conductor: Hervert von Karajan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DG 1981
Conductor: James Levine /Chicago Symphony Orchestra - DG 1990

93. 라벨 1875년 3월 7일(프랑스) 밤의 가스파드

Piano: Louis Lortie - Chandos 2003

Piano: Alexandre Tharaud - Harmonia mundi 2007

 

94. 라벨 1875년 3월 7일(프랑스) 쿠프랭의 무덤

Piano: Alexandre Tharaud - Harmonia mundi 2007

Piano: Louis Lortie - Chandos 2003

 

95. 라벨 1875년 3월 7일(프랑스) 2개의 히브리 선율 중 카디쉬
Soprano: Nora Fischer /Piano: Daniel Kool - DG 2019

96. 라벨 1875년 3월 7일(프랑스) 피아노 협주곡
Piano: Samson Francois /Conductor: Andre Cluytens /Conservatory Concert Society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60

Piano: Seong-Jin Cho /Conductor: Andris Nelsons/ Boston Symphony Orchestra - DG 2024
Piano: Pascal Roge /Conductor: Charles Dutoit /Montreal Symphony Orchestra - Decca 1983
Piano: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Conductor: Ettore Gracis /Philharmonia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58

97. 라벨 1875년 3월 7일(프랑스) 현악사중주
Quatuor Ebene - Erato 2008

98. 라벨 1875년 3월 7일(프랑스) 라발스
Conductor: Jean Martinon /Paris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75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Seoul Pilharmonic Orchestra - DG

99. 라벨 1875년 3월 7일(프랑스) 볼레로
Conductor: Claudio Abbado /London Symphony Orchestra - DG 1986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Fance Radio Philhamonic Orchestra - DG
Conductor: Ernest Ansermet /Swiss Romade Orchestra - Decca 1963

100. 라벨 1875년 3월 7일(프랑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Conductor: Claudio Abbado /London Symphony Orchestra - DG 1986

 

------------------------------------------------------------------------------------------------------------------

 

101. 버르토크(바르톡) 1881년 3월 25일(헝가리) 피아노 협주곡 1번
Piano: Jean-Efflam Bavouzet /Conductor: Gianandrea Noseda /BBC Symphony Orchestra - Chandos 2010
Piano: Maurizio Pollini /Conductor: Claudio Abbado /Chicago Symphony Orchestra - DG

102. 버르토크(바르톡) 1881년 3월 25일(헝가리) 피아노 협주곡 2번
Piano: Maurizio Pollini /Conductor: Claudio Abbado /Chicago Symphony Orchestra - DG

 

103. 림스키 코르사코프 1844년 3월 18일(러시아) 셰혜라자데
Conductor: Mariss Jansons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5
Conductor: Valery Gergiev /Kirov Orchestra, St Petersburg - Decca 2002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Bastille Opera Orchestra - DG 1993

 

104. 스트라빈스키 1882년 6월 17일(러시아-유태계) 결혼
Conductor: Leonard Bernstein /English Bach Festival Percussion Ensemble - DG 1977
Conductor: Robert Craft /Orpheus Chamber Ensemble - Sony Classical 1974

 

105. 스트라빈스키 1882년 6월 17일(러시아-유태계) 봄의 제전
Conductor: Esa-Pekka Salonen /Philharmonia Orchestra - Sony Classical 1988,1889
Conductor: Esa-Pekka Salonen /Los Angeles Philharmonic - DG 2006

106. 스트라빈스키 1882년 6월 17일(러시아-유태계) 불새
Conductor: Esa-Pekka Salonen /Philharmonia Orchestra - Sony Classical

107. 스트라빈스키 1882년 6월 17일(러시아-유태계) 불꽃
Conductor: Pierre Boulez /Chicago Symphony Orchestra - DG 1993

108. 스트라빈스키 1882년 6월 17일(러시아-유태계) 환상적 스케르조
Conductor: Gerard Schwarz /Seattle Symphony Orchestra -Naxos 2012

109. 스트라빈스키 1882년 6월 17일(러시아-유태계) 러시아 스케르조
Conductor: Robert Craft /St. Luke's Orchestra - Naxos 2007

110. 스트라빈스키 1882년 6월 17일(러시아-유태계) 나이팅게일의 노래
Conductor: Neeme Jarvi /Swiss Romande Orchestra - Chandos 1993

------------------------------------------------------------------------------------------------------------------

 

111. 코다이 1882년 12월 16일(헝가리) 무반주 첼로 소나타
Cello: Franco Maggio Ormezowski - Dynamic 1983
Cello: Julian Steckel - VAI 2019


112. 아테르베리 1887년 12월 12일(스웨덴) 첼로 협주곡

Cello: Truls Mork /Conductor: Kristjan Jarvi /Norrlandsoperan Symphony Orchestra  - BIS 2007
Cello: Nikolai Schneider /Conductor: Ari Rasilainen /NDR Philharmonic Orchestra  - CPO 2007

 

113. 아테르베리 1887년 12월 12일(스웨덴) 현악사중주 2번
Stenhammar Quartet - CPO 2009

114. 아테르베리 1887년 12월 12일(스웨덴) 현악사중주 3번
Stenhammar Quartet - CPO 2009


115. 프로코피예프 1891년 4월 23일(우크라이나) 피아노 협주곡 2번
Piano: 백건우(Kun-Woo, Paik) /Conductor: Antoni Wit /Polish National Radio Symphony Orchestra - Naxos 1992

116. 프로코피예프 1891년 4월 23일(우크라이나) 피아노 협주곡 3번
Piano: Martha Argerich /Conductor: Claudio Abbado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67
Piano: 백건우(Kun-Woo, Paik) /Conductor: Antoni Wit /Polish National Radio Symphony Orchestra - Naxos 1992
Piano: Denis Matsuev /Conductor: Valery Gergiev /Kirov Orchestra - Mariinsky 2014


117. 프로코피예프 1891년 4월 23일(우크라이나) 로미오와 줄리엣 모음곡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 DG 1994
Conductor: Claudio Abbado /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1997

118. 프로코피예프 1891년 4월 23일(우크라이나) 스키타이안 모음곡
Conductor: Neeme Jarvi /Scottish National Orchestra - Chandos 2008
Conductor: Claudio Abbado /Chicago Symphony Orchestra - DG 1978


119. 오르프 1895년 7월 10일(독일) 카르미나 부라나
Conductor: James Levine /Chicago Symphony Orchestra - DG 1985

120. 플랑크 1899년 1월 7일(프랑스) 두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
Piano: Lucas & Arthur Jussen /Conductor: Stephane Deneve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 DG 2017
Piano: Martha Argerich & Alexander Gurning /Conductor: Erasmo Capilla /Orchestra Della Svizzera Italiana - DG 2017

 

------------------------------------------------------------------------------------------------------------------

 

121. 플랑크 1899년 1월 7일(프랑스) 가곡 사랑의 길"Les Chemins de l'amour"
Soprano: Sabine Devieilhe /Piano: Alexandre Tharaud - Erato 2020

122. 하차투리안 1903년 6월 6일(아르메니아) 스파르타쿠스
Conductor: Alexander Lazarev /Bolshoi Symphony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4

 

123. 하차투리안 1903년 6월 6일(아르메니아) 가면무도회
Conductor: Alexander Lazarev /Bolshoi Symphony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4
Conductor: Neeme Jarvi /Royal Scottish National Orchestra - Chandos 1987

124. 하차투리안 1903년 6월 6일(아르메니아) 첼로 협주곡
Cello: Dmitry Yablonsky /Conductor: Maxim Fedotov /Moscow City Symphony Orchestra - Naxos 2010

125. 쇼스타코비치 1906년 9월 25일(러시아) 피아노 협주곡 1번
Piano: Denis Matsuev /Conductor: Gabor Tarkovi /Vienna - Berlin Chamber Orchestra - DG 2020

126. 쇼스타코비치 1906년 9월 25일(러시아) 피아노 협주곡 2번
Piano: Mikhail Rudy /Conductor: Mariss Jansons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8
Piano: Elisabeth Leonskaja /Conductor: Hugh Wolff /Saint Paul Chamber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3

127. 쇼스타코비치 1906년 9월 25일(러시아) 첼로 협주곡 1번
Cello: 장한나 (Han-Na Chang) /Conductor:Antonio Pappano /London Symphony Orchestra - Warner Classics 2005

128. 쇼스타코비치 현악사중주 3번 
Novus Quartet - Aparte 2022

129. 쇼스타코비치 현악사중주 8번 
Novus Quartet - Aparte 2022

130. 쇼스타코비치 1906년 9월 25일(러시아) 재즈 모음곡
Conductor: Mariss Jansons  Philadelphia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7

 

------------------------------------------------------------------------------------------------------------------

131. 쇼스타코비치 1906년 9월 25일(러시아) 교향곡 4번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Philadelphia Orchestra - DG 2002

 

132. 쇼스타코비치 1906년 9월 25일(러시아) 교향곡 5번
Conductor: Andris Nelsons /Boston Symphony Orchestra - DG 2016
Conductor: Mariss Jansons / Oslo Philharmonic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87
Conductor: Mariss Jansons /Bavarian Radio Symphony Orchestra - BR-Klassik 2020

 

133. 쇼스타코비치 1906년 9월 25일(러시아) 교향곡 7번 "레닌그라드"
Conductor: Mariss Jansons /Philadelphia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7
Conductor: Neeme Jarvi /Scottish National Orchestra - Chandos 1988

134. 쇼스타코비치 1906년 9월 25일(러시아) 교향곡 10번
Conductor: Mariss Jansons /Philadelphia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7
Conductor: Vasily Petrenko /Royal Liverpool Philharmonic Orchestra - Naxos 2010

135. 쇼스타코비치 1906년 9월 25일(러시아) 교향곡 11번 "1905"
Conductor: Mariss Jansons / Philadelphia Orchestra - Warner Classics 1997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DG 1990
Conductor: Semyon Bychkov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ecca 1988

136. 쇼스타코비치 1906년 9월 25일(러시아) 교향곡 13번 '바비 야르'
Conductor: Neeme Jarvi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DG 1996
Conductor: Mariss Jansons /Bavarian Radio Symphony Orchestra - Warner Classics 2005

137. 메시앙 1908년 12월 10일(프랑스) 피안의 빛
Conductor: 정명훈(Myung-Whun Chung) /Bastille Opera Orchestra - DG 1994

138. 새뮤얼 바버 1910년 3월 9일(미국) 현을 위한 아다지오
Conductor: Leonard Bernstein /NewYork Pilhamonic Orchestra - Sony Classics 1971
Conductor: Leonard Bernstein /Los Angeles Pilhamonic Orchestra - DG 1983

139. 새뮤얼 바버 1910년 3월 9일(미국) 피아노 협주곡
Piano: Elizabeth Joy Roe(노은정) /Conductor:  Emil Tabakov /London Symphony Orchestra - Decca 2014

 

140. 브리튼 1913년 11월 22일(영국) 피아노 협주곡 
Piano: Elizabeth Joy Roe(노은정) /Conductor:  Emil Tabakov /London Symphony Orchestra - Decca 2014

------------------------------------------------------------------------------------------------------------------

141. 윤이상 1917년 9월 17일(한국-독일) 하프와 현을 위한 공후
Harp: Rana Park /Conductor: Piotr Borkowski /Korean Chamber Ensemble - Naxos 2006

142. 윤이상 1917년 9월 17일(한국-독일)  소리 (Flute)
Flute: Verena Bosshart - Jecklin 2014
Flute: Astrid Schmeling - CPO 1993
Flute: Angela Tetzlaff - CPO 2013

143. 바인베르크 1919년 12월 8일(폴란드,러시아-유태계) 플룻협주곡 1번
Flute: Claudia Stein /Conductor: David Robert Coleman /Szczecin Philharmonic Orchestra - Naxos 2019
Flute: Anders Johnhall /Conductor: Thord Svedlund /Gothenburg Symphony Orchestra - Chandos 2006

144. 피아졸라 1921년 3월 11일(아르헨티나,이태리계) 오블리비언
Violin: 김지연(Chee-Yun) - Universal

145. 피아졸라 1921년 3월 11일(아르헨티나,이태리계) 리베르탱고
Cello: Yo-Yo Ma - Sony Classical 1997

146. 존 월리엄스 1932년 2월 8일(미국) 스타워즈 OST 중 제국의 행진
Conductor:  John Williams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 DG 2022
Conductor:  John Williams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 DG 2020

 

147. 리버만 1961년 2월 22일(미국-유태계) 가고일스
Piano: 서혜경 (Hai-Kyung Suh) - DG 2019

148. 리버만 1961년 2월 22일(미국-유태계) 플룻협주곡
Flute: Eugenia Zukerman /Conductor: Andrew Litton /Dallas Symphony Orchestra - Delos 2000

149. 파질 세이 1970년 1월 14일 (투르키예) 첼로 협주곡
Cello: Camille Thomas /Conductor: Stephane Deneve /Brussels Philharmonic Orchestra -DG

150. 리나 에스마일 1983년 2월 11일(미국-인도계) 줄라 줄라
Violin: 원다운(Dawn Wohn) /Piano: 박에스더(Esther Park)- Delos 2019

 

다음번엔 각 장르별(실내악, 교향곡, 협주곡 이런 시의 분류로) 추천 곡과 간단한 설명의 글들을 추가해 보겠습니다. 그럼 그때 또 뵈어요:)